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House of vagabond

[남양주] 조안면-dumulmuhri house 본문

노출콘크리트/국내(서울,경기)

[남양주] 조안면-dumulmuhri house

자두살구네 2022. 4. 6. 00:32
 
 
 

dumulmuhri house

전원에 살기 – 건축주

어린 시절 고향에서 같이 자란 이웃집 형님이신 건축주는 복잡한 서울에서 벗어나 자신의 여생을 보내기 위해 전원주택을 짓고 싶어했다. 어린 시절 뛰어 놀았던 시골처럼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집, 간결하면서 소박한 집,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집을 원했다.

 

기존지형의 복원

대부분의 전원 주택지의 경우와 같이 두물머리 주택지는 분양 목적으로 대지가 조성되어 다락논처럼 계단식으로  땅의 원형을 잃어버린 곳 이였다. 인간의 손이 미치기 전의 대지 지형은 어떠하였을까? 견우 직녀 봉우리가 동쪽으로 머리를 틀어  흘러내려 강과 만나기 전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다가 강물과 만나는 곳에서 고령의 수목이 있는 전형적인 강변의 모습이었으리라 짐작된다. 다행히 단지 순환로의 끝자락에 위치한 고목들은 보존이 되어 대지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고목의 근경 너머로 강물과 산야가 어울어져 고요함 과 활달함의 양면성을 지니고있다.  새벽 안개의 고요함, 아침햇살의 포근함,  정오 햇살의 강렬함 그리고 저녁 무렵 역광의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이러한 자연 속에서 필요한 것은 풍경의 자연스런 흐름이라 생각된다. 그래서 지형의 인위적인 성토 절토면을 복원하여 동남쪽은 흘러내리는 자연스런 구릉으로 남쪽은 근경의 원시림이 있고 동쪽으로는 산과 강이 어우러진 원경이 펼쳐지는 대지로 바뀌었다.

 

두채와 다섯마당

주택은 가족들의 일상 생활을 하기 위한 본채와 손님을 맞이하거나, 운동을 할 때 혹은  서재로 이용될 별채로 구성되어있다. 본채를 남쪽 계곡의 급경사면에 위치시킨 것은 완만한 경사면을 빈 공간인 주 마당으로 두기 위함이고  동시에 앞집이 동쪽으로 펼쳐진 원경을 가로막을 것이 예상되어 내부에서 계곡사이로 펼쳐진 조망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단지 진입가로, 주택 진입로 그리고 주 마당에서 주택의 높이를 단층으로 낮추어 평안함을 주기 위해서였다. 그 반면 별채를 진입로의 초입에 위치시킨 것은 기능적으로 독립성을 부여하고 한옥의 행랑채와 동일한 개념으로 대문을 형성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주택의 표정을 만드는 요소이다.
외부공간은 독립된 기능을 가진 다섯 개의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차와 진입을 위한 여유공간인 바깥마당은 외부로 열린 마당이며 바닥은 천연 슬레이트 석으로 포장되고 야생화와 자작나무 식재로 주택 외부의 표정을 부여한다.
자연스런 원지형을 복원한 주 마당은 전체구성의 중심적인 공간이며 두채의 사이공간인 별채앞 마당은 사방이 담장, 본채 외벽, 자연지형으로 한정된 고요의 마당이며 남쪽 산세흐름을 살려 별채 내부로 끌어들이고 있다.
적극적인 활동공간인 거실과 식당 앞 데크는 적삼목과 천연슬레이트로 포장되고 거실과 식당의 연장인 외부의 내부공간이다.
이 주택의 마당들은 백토가 깔린 평면적인 전통마당은 아니지만 각각 다른 성격의 기능을 담는 내부 생활의 연장인 반 내부공간이며 동시에 내부의 일상에 적합하게 분화되고 현대화된 곳이다. 즉 그 안에 담겨질 내용은 내 외부에서의 일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다.

 

상부에서 하부로 공간전개

자연스러운 기존지형의 복원으로 대지의 가장 높은 곳에서 진입로가 형성되고, 평지 주택과 달리 본채와 별채의 현관은 2층에 있다.
주택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관계를 맺기 위해 지형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부에서 하부로 공간이 전개된다. 진입 층인 2층은 개인공간인 침실로, 하부 층은 가족의 공유공간인 거실, 식당, 가족실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독립된 외부공간들과 적극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조안리
지역지구 : 자연녹지지역
대지면적 : 978㎡
건축면적 : 96.33㎡
연면적 : 219.01㎡
건폐율 : 9.88%
용적률 : 17.09%
규모 : 지상2층
구조 : 철근콘크리트조
용도 : 단독주택
외부마감 : 외벽단열시스템, 노출콘크리트, 라임스톤, 적삼목
내부마감 : 락커, 스터코, 목재 플로링, 천연슬레이트
설계담당 :
조경 : 김용택
설계기간 : 1999.12-2000.5
공사기간 : 2000.6-2001.1
건축주 : 이운돈

 

location : joan ri, joan myun, namyangju city, kyonggi do
site area : 978㎡
building area : 96.33㎡
total floor area : 219.01㎡
bldg. coverage ratio : 9.88%
gross floor ratio : 17.09%
building scope : 2f
structure : rc
use : residence
exterior finishing : dryvit system, exposed concrete, limestone, red cedar
interior finishing : stucco, wood flooring, natural slate
landscape : yongtac kim
design period : 1999.12-2000.5
construction period : 2000.6-2001.1
client : undon lee

Copyright (c) 2017 Jeon

'노출콘크리트 > 국내(서울,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동검리-donggeomri houses  (0) 2022.04.06
[판교] convex house판교 철동  (0) 2022.04.06
[서울]은평-woosamga  (0) 2022.04.06
[파주] Paju House  (0) 2022.04.06
[양평] 용문-yangpyeong unfolding house  (0) 2022.04.06